삼시 세끼로 부족한 미식 탐방, 부산 초량육미거리긴 시간 열차를 타고 내린 역 일대에는 식당가가 형성되게 마련[이트레블뉴스=이성훈 기자] 사람들이 긴 시간 열차를 타고 내린 역 일대에는 식당가가 형성되게 마련이다. 부산역 광장에서 8차선 대로를 건너면 초량육미거리다. 접근성으로 둘째가라면 서럽다. 육미(六味)는 돼지갈비와 돼지불백, 돼지국밥, 밀면, 어묵, 곰장어까지 여섯 가지 맛을 뜻한다.
이곳 초량동이 맛의 본거지가 된 데는 우리나라 근현대사가 함께한다. 한국전쟁 이후 피란민이 부산에 정착하면서 다양한 음식 문화가 발전했고, 1960~1970년대 조선방직과 삼화고무 노동자들은 고된 하루 끝에 값싸고 맛있는 음식을 먹으며 위로를 받았다. 육미가 영양 만점 밥상이자 술안주로 손색없는 메뉴인 것을 봐도 알 수 있다. 초량육미거리로 미식 탐방에 나서자.
부산은 ‘돼지고기 음식의 수도’라 해도 무방하다. 부산에 정착한 팔도 사람의 음식이 모두 녹아든 덕이다. 문현동 돼지 곱창, 부평동 돼지 족발, 감자탕, 돼지껍질 등 떠오르는 음식이 많지만, 초량동 돼지갈비와 돼지불백을 빠뜨리기 섭섭하다. 초량전통시장과 접한 초량동 돼지갈비골목은 오래된 가게가 모인 곳이다.
육미의 첫 번째 맛, 돼지갈비다. 삼대는 기본, 빼닮은 가족이 대를 이어 운영한다. 골목에서 불판을 닦는 가게 사장을 만났다. “불판 나이가 환갑이 넘어요. 우리 할머니 때부터 쓰던 거니까 올해로 예순셋. 주물로 만들어서 잘 닳지 않고, 금세 깨끗이 닦여”라며 자부심을 드러낸다.
오래된 가게는 요즘 세대에겐 ‘힙하다’. 레트로 감성에 열광하는 젊은이는 물론, 대를 이어 찾는 손님까지 초량 돼지갈비의 인기는 여전하다. 가게 조명이 켜질 무렵, 초량동에 들어선 관광객은 동네방네 퍼지는 갈비 냄새의 유혹을 떨치기 어렵다. 초량육미거리를 걷다 보면 후각이 발달하는 기분이다.
초량천을 따라 오르면 육미의 두 번째 맛, 돼지불백을 만난다. 초량 돼지불백은 바쁜 택시 기사들에게 ‘집밥’과 다름없었다. 불고기와 공깃밥을 줄여 불백(불고기 백반)이라 했다. 빨간 양념으로 버무린 돼지고기를 불판에 굽고 상추에 무생채와 함께 싸 먹으면 밥 한 그릇 뚝딱이다. 부산고등학교 입구 노상 공영주차장 앞으로 돼지불백 가게가 나란히 성업 중인데, 앞다퉈 원조라 내세운다. 맛은 버텨온 세월이 입증하니 어디를 가도 기본 이상이다.
육미에 돼지국밥이 빠질쏘냐. 육수에 돼지 내장과 부속물을 넣고 끓이면 진한 고깃국이 완성되는데, 여기서 돼지국밥이 등장한다. 가마솥에 푹 삶는 돼지 수육은 다양한 음식으로 변주된다. 잔칫상에도 수육이 빠짐없이 올라간다. 초량육미거리에선 돼지국밥 토렴하는 소리가 발길을 붙든다. 국자와 뚝배기가 일정한 박자로 부딪히는 소리에 즉흥곡을 감상하는 느낌이다.
돼지국밥의 맛과 유명한 식당으로 따지면 부산역 뒷골목도 놓치기 아깝다. 부산 돼지국밥은 육수에 잡내가 없고 고소하면서도 가볍지 않다. 만화가 허영만은 TV 프로그램식객 허영만의 백반기행에서 돼지국밥을 맛보며 “부산 돼지국밥이 먼저냐, 밀양 돼지국밥이 먼저냐 따지지 마소. 국밥은 따땃할 때가 맛있으니까”라고 했다. 여행의 시작과 끝에 맛보는 뜨끈한 국물이 부산을 잊지 못하게 만든다.
돼지고기로 배가 부르면 개운한 맛이 당긴다. 이제는 고유명사가 된 부산밀면은 한국전쟁 때 북에서 온 피란민이 구호품으로 받은 밀가루를 냉면처럼 만들며 시작됐다고 한다. ‘망향의 음식’인 셈이다. 차가운 국물에 말아 먹는 물밀면, 매운 양념에 비벼 먹는 비빔밀면 가운데 고르기 어렵다.
친구와 함께 가면 하나씩 주문하고 육전을 추가해야 후회 없다. 살얼음 동동 뜬 육수부터 맛보자. 새콤한 감칠맛이 입안에 오래 감돈다. 닭을 넣어 시원한 육수, 소뼈의 깔끔한 육수 등 집마다 조리법이 다르다. 거무스름한 육수는 한약재를 넣어 깊은 맛을 낸 것이다. 밀면을 먹어보면 부산 사람들이 왜 냉면 대신 사시사철 밀면을 찾는지 이해가 된다. 양도 많아 한 끼로 충분하다.
바다의 도시 부산, 육미의 다섯 번째 맛은 어묵이다. 길거리 음식으로 가볍게 여기기엔 어묵의 진화가 놀랍다. 부산역 광장 어묵베이커리가 대표적인 예다. 오픈 키친 같은 조리 공간이 있고, 카페에서 수제 어묵 70여 종 가운데 맘에 드는 것을 빵처럼 골라 먹는다. 초량전통시장에도 영진어묵 본점이 있어, 초량육미거리 미식 탐방 중 언제든 신선한 어묵을 맛보기 좋다.
육미의 대미는 포장마차 대표 메뉴 곰장어가 장식한다. 곰장어구이는 고소하면서 쫄깃하게 씹히는 맛이 일품이다. 원래 이름은 먹장어인데, 경상도 사투리 꼼장어로 편히 부른다. 전국 먹장어는 거의 부산에서 나고 유통된다고 해도 무방하다. 껍질을 벗겨도 오랫동안 꿈틀대는 강한 생명력 때문에 보양식으로 찾는 이가 많다. 가게 입구에서 곰장어를 손질하는 모습도 볼거리다. 소금구이는 풋고추와 양파를 썰어 넣고, 양념구이는 초고추장 양념을 한다.
초량육미거리에서 ‘초량이바구길’ 표지판이 자주 눈에 띈다. 부산역 앞 8차선 대로 맞은편이 이 길의 시작점이기 때문이다. 이바구는 이야기를 뜻하는 경상도 사투리다. 원도심을 따라 산복도로를 향해 오르면 근현대 부산 이야기가 자연스레 펼쳐지는데, 이를 연결한 걷기 여행 코스가 초량이바구길이다. 초량동은 역사가 고스란히 담겼으되, 자유분방하며 역동적인 동네다.
초량이바구길 초입에 부산 구 백제병원(국가등록문화재)이 있다. 부산에 처음 생긴 근대식 개인 종합병원으로, 두 동을 합친 건물이다. 지금은 카페 ‘브라운핸즈백제’와 창비부산이 자리한다. 창비부산은 창비출판사가 운영하는 복합 문화 공간으로, 책을 사랑하는 모든 이에게 열려 있다. 100년 가까운 역사를 5층 벽돌 건물에 아로새긴 듯, 공간이 주는 힘이 대단하다.
초량이바구길 표지판을 따라 걸으면 168계단이 끝나는 지점에 명란브랜드연구소가 얼굴을 드러낸다. 정확히 말하면 명란 3남매 캐릭터(도요, 레요, 미요)가 손을 흔든다. 부산 동구청이 직영하는 이곳은 ‘뷰 맛집’으로 소문났으며, 음료와 명란을 활용한 음식, 상품을 판매한다. 2층 통창으로 초량동과 북항, 부산항대교를 바라보면 가슴이 탁 트인다. 부산 최초 근대식 물류 창고인 남선창고(일명 명태고방) 이야기를 더해 명란젓의 발상지 초량동의 역사를 전한다.
망양로 산복도로가 구불구불 이어진다. 바다를 바라보는 길, 망양로를 제대로 알기 위해 망양로 산복도로전시관에 들르자. 하꼬방(판잣집)과 루핑집이 세월을 지나 어떻게 변했는지, 민둥산이 푸르러지는 동안 이곳 사람들의 서사를 작품으로 조명했다. 초량육미거리의 다양한 맛이 초량이바구길에서 우리네 삶의 멋으로 향하는 재미가 쏠쏠하다.
○ 당일여행 : 초량육미거리→창비부산→168계단→명란브랜드연구소→망양로 산복도로전시관→초량전통시장→초량동 돼지갈비골목→북항문화공원1차개방구역
○ 1박 2일 코스 : 첫날_초량육미거리→창비부산→168계단→명란브랜드연구소→망양로 산복도로전시관→초량전통시장→초량동 돼지갈비골목→북항문화공원1차개방구역 / 둘째날_자갈치시장→BIFF거리→부평깡통시장→보수동책방골목→부산근현대역사관→용두산공원
○ 관련 웹 사이트 - 동구 문화관광 www.bsdonggu.go.kr/tour/index.donggu - 비짓부산 http://tour.busan.go.kr/index.busan - 부산관광공사 http://bto.or.kr
○ 문의 - 부산관광공사 051-780-2111(평일), 051-780-2116(주말) - 부산광역시청 관광마이스국 관광진흥과 051-888-5294 - 창비부산 051-714-6866 - 명란브랜드연구소 051-463-9182
○ 주변 볼거리 : 부산과학체험관, 문화공감수정, 부산역풍물거리 / 관광공사_사진제공
<저작권자 ⓒ 이트레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부산시, 초량육미거리, 먹거리, 창비부산, 자갈치시장 관련기사목록
|
Tour Conductor 많이 본 기사
|
매체소개 ㅣ 신문윤리강령.실천요강 ㅣ 청소년보호정책 ㅣ 개인정보취급방침 ㅣ 이용약관 ㅣ 고객센타 ㅣ 기사제보 ㅣ 보도자료 ㅣ 기사검색
신문자유와 기능보장 관한 법률제12조1항 및 동법 시행령제4조 규정에의거 정기간행물 전북,아00007호 2006년1월6일 등록
발행인 조세운, 편집인 박동식 | 개인정보관리 및 청소년보호관리 책임자 박소영 | 통신판매신고 2004-49호 | 저권등록번호 C-001805호
본사.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백제대로 409.2층 / 070-8895-3850 | 지사.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162길21 신광빌딩 6층 / 070-8895-3853
이트레블뉴스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과 지적재산권의 보호를 받아 무단전재와 복사, 배포등을 금지하며, 신문윤리강령 및 실천요강을 준수합니다.
Copyright ⓒ2006-2024 이트레블뉴스_E-TRAVELNEWS I DASOM All rights reserved Contact for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