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섬 서포터즈, 지심도 찾아 근대유산 탐방 및 자연환경 홍보
동백섬으로 유명한 지심도 만의 특별한 자연환경을 탐방하는 등 섬의 매력을
이형찬 | 입력 : 2023/03/17 [07:06]
[이트레블뉴스=이형찬 기자] 경남의 섬을 사랑하는 섬 지킴이자 섬 지원 활동가로 구성된 경남 섬 서포터즈 ‘섬 어엿비’가 16일 거제시 소재 지심도에서 섬의 아픈 역사를 배우고 동백꽃으로 물든 섬의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홍보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섬 탐방 활동은 한려해상 국립공원의 자연환경 해설사분들과 함께 섬을 돌며 지심도의 일제강점기 때의 역사 흔적을 찾아보았고, 동백섬으로 유명한 지심도 만의 특별한 자연환경을 탐방하는 등 섬의 매력을 널리 알리는 경남 섬 서포터즈 행사가 되었다.
지심도(只心島)는 하늘에서 내려다보면 섬의 생긴 모양이 마음 심(心)자를 닮았다 하여 지심도(只心島)라고 불린다. 남해안 섬들 가운데 동백나무 개체수나 수령이 압도적이어서 '동백섬'이란 이름이 어느 섬보다 훨씬 잘 어울리는 섬이다.
일제강점기 대마도와 함께 군사적 요충지로 1936년 주민 강제 퇴거 이후 요새화가 되었다. 지심도는 1971년 소유권을 대한민국 국방부로 이전해 해군에서 관리하였고 2017년 거제시로 소유권을 이전하여 현재까지 일제강점기 근대유산이 다수 존재하는 슬픈 역사를 간직한 섬이다.
‘섬 어엿비’들은 거제시 자원봉사센터의 지역 예술가분들이 준비한 ‘작은 음악회’를 감상하고 지심도를 주제어로 즉석 삼행시를 짓기도 하면서 섬의 정취를 즐겼다. 또한 곽연희 바다해설사의 섬과 바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들으면서 섬의 가치에 대해 폭넓게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외에도 섬을 탐방하며 쓰레기를 줍는 플로깅(Plogging)을 하며 섬 환경보호에 이바지하였다.
‘섬 어엿비’ 서현숙(인천 거주) 씨는 “기존 섬 어엿비의 활동인 섬의 환경정비와 청소뿐만 아니라 지심도의 아픈 역사를 듣고 그 흔적을 눈으로 볼 수 있어 마음이 아프면서도 지심도의 멋진 자연환경을 체험하고 경남 섬의 무한한 가치를 느낄 수 있어 좋았다”라는 소감과 함께 누리소통망서비스(SNS)에 거제 지심도의 홍보를 약속했다. 이번 활동을 마치며 ‘섬 어엿비들’은 날씨가 많이 좋아진 만큼 섬 서포터즈 공식활동뿐만 아니라 개인적으로도 경남의 섬을 탐방하며 활발한 홍보 활동을 다짐하였다.
<저작권자 ⓒ 이트레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경상남도, 섬서포터즈, 지심도, 근대유산탐방, 자연보호 관련기사목록
- 경상남도, 수도권 관광객 유치위해 ‘경남관광 팝업(pop-up)홍보관’ 운영
- 경상남도, 2023 하동세계차엑스포 사전 붐 조성 위한 '왕의 차 진상식' 개최
- 경상남도, 2023 찾아가고 싶은 봄섬에 ‘통영 한산도’ 선정
- 경남문화예술회관, 크노마이오페라 ‘시칠리아 섬의 저녁기도’ 상영
- ‘경남에서 한 달 여행하기’ 참가자 모집
- 경남만의 특별한 테마별 관광상품, 5대 테마 버스투어 운영
- 경남산림박물관, 미디어아트 기획전 삶의 불빛_The Light of life 개최
- 새 옷으로 단장한 로봇랜드, 다양한 봄맞이 행사 개최
- 경상남도, ‘경남 로케이션 인센티브 지원사업’ 공모
- 경상남도, 2023 경남관광박람회 개최
- 경상남도, ‘워케이션’으로 새 단장하는 농촌체험휴양마을
- 경상남도, 관광분야 공모 연이어 선정
- 경상남도, 배우 전광렬 산청엑스포 홍보대사로 위촉
- 통영시, 통영애(愛) 온나 1차 참가자 모집
- 경상남도수목원, 이동약자 수목원 관람편의 환경 개선 위한 전동관람차 운행
- 경상남도, 추천 봄철 가보고 싶은 여행지 15곳 소개
- 경상남도, ‘경남청년 버스킹 경연대회·콘서트’ 개최
- 경상남도 금원산자연휴양림, 경남도민 우선예약제 운영
- 금원산, 경상남도 최초 선태식물원 조성
- 아름다움과 건강을 한 번에 챙기는 여행, 거제도해수보양온천
|
- 국내여행
- 서울시, 아름다운 서울 봄 꽃길 171선 선정
- 국내여행
- 찾아가고 싶은 봄섬, 하화도·관매도·반월박지도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