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 희귀 자생식물의 요람, 국립한국자생식물원겨울에 오대산 기슭 숲속에 서 있으니 차분하게 가라앉은 평온함[이트레블뉴스=이성훈 기자] 찬 기온을 머금은 바람이 살랑 부니 나뭇가지에 매달린 윈드차임에서 ‘차라라’ 소리가 울린다. 마치 실로폰을 연주하는 듯 기분 좋은 멜로디가 귓가를 간지럽힌다. 겨울에 오대산 기슭 숲속에 서 있으니 차분하게 가라앉은 평온함이 방문자의 마음을 부드럽게 어루만져 준다.
숲속의 상록수들이 변함없는 푸른 자태로 반겨주니 한겨울도 온기마저 느껴진다. 연구센터를 겸한 국립한국자생식물원 방문자센터 로비는 폐목재를 활용해 만든 아기자기한 소품이 놓여있어 포근한 분위기다. 판매대에 진열된 곤충과 동물 모양의 공예품, 접시와 머그잔 같은 도자기 제품, 여러 가지 생활 소품을 구경하는 것도 재미있다.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나만의 컵이나 접시를 만들어볼 수도 있다. 초벌 된 도자기 제품에 식물 이미지를 그려 넣으면 재벌한 뒤 완성한 제품을 택배로 집까지 보내준다. 찬바람에 언 몸은 겨울철 한정으로 제공되는 무료 음료로 녹일 수 있다. 아메리카노와 얼그레이, 캐모마일, 애플 티 중 원하는 것으로 선택할 수 있다. 아이들을 위한 핫초코도 준비돼 있다. 방문자센터 2층에 마련된 카페 공간에서 커다란 창을 통해 풍경을 감상하며 여유롭게 음료를 즐겨보자.
눈이 많이 내리는 대관령 지역이어서 12월 하순 이후에는 설경을 만나는 날도 많다. 그런 날이면 나뭇가지에 눈꽃이 피어 동심을 자극하는 낭만적인 풍경을 만나게 된다. 창밖의 설경을 감상하며 마시는 차 한 잔의 호사는 상상만으로도 즐겁다.
차를 마시며 테이블 주변에 비치된 책을 읽는 것도 좋다. 국립한국자생식물원은 숲속 책장에 조정래 작가가 기증한 도서를 포함해 약 2만여 권의 책을 소장하고 있다. 그중 일부를 주기적으로 바꿔가면서 방문객이 책을 읽을 수 있도록 비치한다.
지금의 모습을 갖춘 국립한국자생식물원은 2024년 7월에 문을 열었다. 식물원 곳곳에는 이곳을 설립한 김창열 원장의 손길이 지금까지도 남아 있다. 김창열 원장은 전국을 다니며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식물을 채취해 이곳에서 야생화 농사를 지었다.
1999년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자생식물로 구성한 사립 식물원을 개원했다. 수십 개에 이르는 우리나라의 다른 식물원과 차별되는 점은 외래종을 배제하고 오직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식물로만 구성한 식물원이라는 것이다. 이곳의 식물이 더 나은 보살핌을 받고 많은 사람이 관람할 수 있는 공간으로 운영되기를 바라는 그의 마음은 2021년 산림청에 기부로 이어졌고 국립으로 전환된 계기가 되었다.
최소 100년간 이곳을 식물원으로 운영할 것도 조건으로 내세웠다. 환경부에서 지정한 멸종위기 야생식물 서식지 외 보전기관이며 산림청에서 지정한 국가희귀·특산물 보전기관이라는 것이 국립한국자생식물원의 가치를 말해준다.
관람공간은 크게 희귀식물원과 특산식물원, 100회마라톤공원, 동물이름식물원, 모둠정원, 비밀의화원, 비안의언덕으로 구성돼 있다. 모두 야외공간이어서 겨울에는 꽃과 화초를 만날 수 없다. 이를 보완해 겨울에도 야생화를 볼 수 있도록 전시 온실을 조성 중이다.
국립한국자생식물원에서 볼 수 있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야생화로 단양쑥부쟁이를 들 수 있다. 단양에서 처음 발견돼 붙은 이름으로 구절초, 벌개미취와 함께 가을을 대표하는 야생화다.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된 귀한 식물이지만 생명력이 강해 군락을 이뤄 자생하는 꽃이다.
비안의언덕이라는 이름이 붙은 야생화 재배단지에도 가을에 식물원을 대표하는 또 다른 식물인 벌개미취 군락지가 있다. 대군락을 이루는 아름다운 풍경에 방문객이 사진 명소로 사랑하는 곳이기도 하다. 깽깽이풀은 희귀식물원에서 이른 봄 가장 먼저 꽃망울을 터뜨린다. 보라색의 앙증맞은 꽃잎이 예쁜 꽃이다.
모둠정원도 눈길을 끄는 공간 중 하나다. 옹달샘정원, 산나물정원, 우리집정원 등으로 구성돼 있다. 그중 전원주택에서 정원을 만들 때 참고할만한 모델을 제시한 우리집정원은 아기자기한 예쁜 공간으로 꾸며놓아 포토스폿으로도 손색이 없다. 숲속 책장 옆으로 난 덱을 따라가면 비밀의화원을 만난다.
우리나라 고유의 꽃과 나무들이 어우러져 자라는 자연스러운 모습을 재현한 공간이다. 20m는 되어 보이는 소나무 군락은 겨울에도 푸른 초록을 품고 있다. 소나무 아래 장독대가 놓인 건물 한 채는 오대산 자락의 어느 산촌 풍경을 옮겨 놓은 듯하다.
월정사성보박물관은 조계종 4교구 본사인 월정사와 60여 개 말사에서 기증받은 4천여 점의 국가유산을 소장하고 있다. 그 중 국보인 평창 월정사 석조석조보살좌상과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에서 발견된 진신사리가 대표적이다. 사바세계에서 극락정토로 이동한다는 의미를 지닌 연꽃 다리를 건너 만나는 성보실에는 불상, 불화 더불어 2층 높이의 미디어아트가 눈길을 끈다.
오대산자연명상마을의 가람채는 디지털 디톡스를 위한 공간이다. 하룻밤 묵으며 마음을 치유하는 명상 체험을 할 수 있다. 객실에는 인터넷과 전자제품이 없고 개인 명상 공간을 마련해 놓았다. 오대산동림선원에서 아침 요가 명상과 저녁 치유 명상을 진행한다. 자연명상마을에서 월정사 전나무 숲길이나 선재길 종점까지 산책로도 걷는다. 저녁과 아침에 채식도 제공된다.
아름다운 전나무 숲길로 유명한 월정사는 청정한 자연과 문화가 어우러진 공간이다. 지장율사가 신라 선덕여왕 12년인 643년에 창건한 사찰로 13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졌다. 고려 초기에 제작된 월정사 팔각구층석탑과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등 여러 국보와 국가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다양한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니 산사에서 몸과 마음을 치유해보자.
○ 1박 2일 여행 : 첫날_국립한국자생식물원→월정사→상원사→오대산자연명상마을(숙박) / 둘째날_한강시원지체험관→월정사성보박물관→모나 용평 스키장
○ 관련 웹 사이트 - 평창군 문화관광 https://tour.pc.go.kr - 국립한국자생식물원 https://nbgk.koagi.or.kr/intro - 월정사성보박물관 www.wjssm.kr - 오대산자연명상마을 www.omv.co.kr - 월정사 http://woljeongsa.org/intro.php
○ 운영정보 : 국립한국자생식물원 운영시간 : 3월~10월 09:00~18:00(입장은 17:00까지), 11월~2월 09:00~17:00(입장은 16:00까지) / 월요일(공휴일인 경우 다음날), 1월 1일, 설, 추석 당일 휴무 / 어른 5,000원, 청소년 4,000원, 어린이 3,000원
월정사성보박물관 운영시간 : 동절기 09:00~16:50(입장은 16:30까지), 하절기 09:30~17:30(입장은 17:00까지) / 월요일(공휴일인 경우 다음날), 1월 1일, 설, 추석 당일 휴무 / 입장료 무료(주차요금 별도)
오대산자연명상마을 운영시간 : 체크인/체크아웃 14:00~11:00 / 연중무휴 / 1박 130,0000원~320,000원(시즌과 요일에 따라 다름)
○ 문의 - 국립한국자생식물원 : 033-339-9900 - 월정사성보박물관 : 033-339-7000 - 오대산자연명상마을 : 033-333-6500 - 월정사 : 033-339-6800
○ 축제와 행사 : 평창송어축제 2024년 12월 27일~2025년 2월 2일, 평창 송어 종합공연 체험장, www.festival700.or.kr / 대관령 눈꽃축제 2025년 1월 24일~2월 2일, 평창군 대관령면 눈꽃축제장, www.snowfestival.net
○ 주변 볼거리 : 한강시원지체험관, 상원사(오대산), 모나용평 / 관광공사_사진제공
<저작권자 ⓒ 이트레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평창군, 월정사, 박물관, 오대산자연명상마을, 국내여행 관련기사목록
|
Tour Conductor
Tour Conductor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