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립미술관, 제주비엔날레 연계 누이왁 특별전 개최

11월 26일부터 장리석기념관서 ‘제주 해녀’ 주제 작품 전시

이소정 | 기사입력 2024/11/20 [02:35]

제주도립미술관, 제주비엔날레 연계 누이왁 특별전 개최

11월 26일부터 장리석기념관서 ‘제주 해녀’ 주제 작품 전시

이소정 | 입력 : 2024/11/20 [02:35]

[이트레블뉴스=이소정 기자] 제주특별자치도 제주도립미술관은 오는 11월 26일부터 내년 2월 16일까지 장리석기념관에서 누이왁 전(展)을 개최한다. 너울(누)과 이야기(이왁)를 조합한 ‘누이왁’은 너울을 넘어온 이상적인 이야기를 의미한다. 이번 전시는 제4회 제주비엔날레 아파기 표류기: 물과 바람과 별의 길과 연계한 특별전이다.

 

▲ 누이왁포스터 _ 제주도

 

전시는 화가의 시선 속 해녀, 관광사진 속 해녀, 제주인들의 해녀 등 3가지 주제로 구분해 선보인다. ‘화가의 시선 속 해녀’에서는 평양 출신인 장리석(1916~2019) 화백이 제주에 4년간 머물면서 그린 제주 해녀의 모습을 담은 작품 12점을 선보인다. 장리석의 작품 속 해녀는 원시 미술에서 나타는 인체의 특징을 적극적으로 수용했는데, 풍만한 신체를 투박한 붓질과 물감을 두텁게 발라 제주의 해녀들에게 받은 인상을 자신이 지향하는 이상적인 여인상으로 그려냈다.

 

▲ 장리석 여담(餘談)   

 

‘관광사진 속 해녀’에서는 1950년대 말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제주의 관광정책에 따라 제주의 대표 이미지로 활용된 해녀의 이미지를 살펴본다. 관광제주, 제주도 관광안내서 등에 실린 제주 해녀는 작업도구를 들고 바닷가에 서 있는 모습, 일하는 모습 등 관광사진첩에 적극 활용됐다.

 

▲ 장리석 해조음(海潮音)

 

‘제주인들의 해녀’에서는 외부인들의 시선이 아닌 제주인들의 시선으로 기록된 해녀의 모습을 소개한다. 제주인들에게 해녀는 삶과 죽음의 경계를 넘나들며 생명을 키워내는 모두의 어머니이자 딸이다. 해녀들의 순간을 포착한 사진가 홍정표(1907~1992), 윤세철(1932~2011), 고광민(1952~)의 작품을 통해 예술적, 기록적 가치를 사진작품 22점에서 함께 확인할 수 있다.

 

▲ 우도(고광민,제주여자의일생)

 

이종후 제주도립미술관장은 제4회 제주비엔날레와 연계한 이번 특별전에서는 표류의 역사를 간직한 섬 제주에서 이뤄진 이야기들을 예술적 관점에서 재해석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제4회 제주비엔날레는 ‘아파기 표류기: 물과 바람과 별의 길’을 주제로 제주도립미술관, 제주현대미술관 문화예술공공수장고, 제주아트플랫폼,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등 5곳에서 11월 26일부터 내년 2월 16일까지 펼쳐지며 14개국 40명(팀)이 참여한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 2894-78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주도, 도립미술관, 비엔날레, 특별전 관련기사목록
더보기
국내여행
계절을 거스르는 초록빛 여행지 국립생태원과 장항송림산림욕장
1/3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