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시, 제25회 서귀포 유채꽃 국제걷기대회 개최
3년만에 인원 제한없이 국내외에서 참가하게 되어 더욱 기대를 모으고
이소정 | 입력 : 2023/03/07 [08:40]
[이트레블뉴스=이소정 기자] 서귀포의 봄을 느끼며, 유채꽃길을 세계인이 함께 걷는 ‘제25회 서귀포 유채꽃 국제걷기대회’가 오는 3월 25일부터 26일까지 양일간 제주월드컵경기장 광장(주행사장)을 비롯한 서귀포시 일원에서 개최한다. 서귀포시(시장 이종우)와 한국체육진흥회(회장 선상규)가 공동 주최하고, (사)서귀포시관광협의회가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3년만에 인원 제한없이 국내외에서 참가하게 되어 더욱 기대를 모으고 있다.
▲ 제25회 서귀포 유채꽃 국제걷기대회 포스터 _ 서귀포시
|
이는 서귀포시, 일본 구루메시, 중국 다롄시가 ‘동아시아 플라워 워킹리그’를 결성하여 각 지역을 대표하는 유채꽃, 진달래꽃, 아카시아꽃을 주제로, 걷기를 통해 평화와 화합을 도모하는 봄 걷기 축제이다. 주 행사장인 제주월드컵경기장 광장에서 출발하여 5km, 10km, 20km 코스중 선택하여 걸을 수 있으며, 완주자는 국제시민스포츠연맹(IVV)과 한국체육진흥회(KAPA)에서 공식 인증하는 완보증을 받게 된다.
대회 참가신청은 행사당일과 사전 신청 둘 다 가능하고, 사전신청은 3월 17일까지 (사)서귀포시관광협의회 홈페이지(www,jejusta.or.kr)를 통해 할 수 있으며, 사전신청자 선착순 천 명에 한해 기념품이 제공된다. 걷기 행사 이외에도 문화예술 공연과 체험 프로그램으로 재미를 더하고, 서귀포의 풍경과 봄의 정취를 간직할 수 있는 포토존을 운영하여 참가자들에게 다양한 추억을 선사한다는 계획이다. 서귀포시 관계자는 서귀포시의 대표 국제 행사로 오랜만에 제약 없이 국내외 걷기마니아들과 시민, 관광객들이 참여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하며, 가족.친구.연인과 함께 서귀포의 봄길을 걸으며 좋은 추억을 만들었으면 한다.라고 전했다.
한편, 지난 2월 서귀포 유채꽃 국제걷기대회는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한국관광공사 주관으로 추진한 ‘2023~2024 한국방문의 해’ K-컬처 관광이벤트 100선에 선정되었다.
<저작권자 ⓒ 이트레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제주도, 서귀포, 유채꽃, 국제걷기대회 관련기사목록
- 제주특별자치도, 호국보훈 모바일 스탬프 투어
- 제주관광공사, 2023 여름 놓치지 말아야 할 제주관광 10선 소개 ②
- 제주관광공사, 2023 여름 놓치지 말아야 할 제주관광 10선 소개 ①
- 충청북도, 밀레니엄타운내 유채꽃 활짝·청보리 단지 조성
- 고양시, 창릉천 유채꽃 축제 개막
- 익산 신흥공원 유채꽃밭으로 힐링하러 오세요
- 서울시, 4년만에 개최하는 한강 서래섬 유채꽃 축제
- 정읍 경관농업 시범지구 유채꽃 만개
- 완도군 청산도 슬로걷기 축제 성황, 2주 만에 3만여 명 다녀가
- 당진 합덕제에 봄의 상징 유채꽃 ‘만발’
- 전주 도도동, 봄기운 가득한 노란 유채꽃 ‘활짝’
- 제주 민속자연사박물관, '작은 꽃, 강한 새 그리고 제주' 생태 사진전 개최
- 포항시, 절정의 노란 물결, 눈과 입이 즐거운 호미반도
- 서귀포시, 제40회 서귀포 유채꽃 축제 개최
- 서귀포예술의전당, 제주4.3 창작뮤지컬 동백꽃 피는 날 개최
- 제주현대미술관, 4.3미술제 '기억의 파수' 전시 개막
- 제주도, 미술과 음악의 만남 갤러리 벵디왓전 개최
-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토끼의 친구 '탐라국 거북이' 테마 전시
- 제주도, 사계절 테마가 살아 숨쉬는 한라생태숲 사진전 개최
- 제주 민속자연사박물관, 소장품 도록 ‘제주바당’ 발간
- 제3회 제주비엔날레, 폐막 전 무료관람 진행
- 제주도, 가족과 함께 즐기는 제주목 관아 설맞이 민속놀이마당
- 제주목 관아, 한복 사진 촬영 명소로 인기다
|
- 국내여행
- 충청북도, 6월 ‘여행가는 달’ 수(水) 많은 호수길 여행 9곳 추천
- 국내여행
- 문화체육관광부, 걸어서 대한민국 한바퀴 2023 걷기여행주간 운영
- 국내여행
- 익산시, 종교·역사·문화예술 따라 여산을 거닐다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