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난지도 섬에서 월드컵공원으로의 변화, 공원의 기억여행 프로그램
전문 공원해설사 동반, 난지도이야기홍보관에서 하늘공원(또는 노을)까지 여행 가능
이소정 | 입력 : 2023/02/26 [07:03]
[이트레블뉴스=이소정 기자] 서울시 서부공원여가센터에서는 꽃섬 난지도에서 월드컵공원까지의 과정을 해설․안내하는 “공원의 기억여행” 프로그램을 오는 3월 2일부터 11월까지 대면 운영을 재개한다. 코로나 이전(‘19)에는 환경교육장소 및 매립지 벤치마킹을 위해 국내외 59개 기관 1,628명이 다녀갔을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
월드컵공원은 예전 난초와 지초가 아름다웠던 꽃섬에서 세월을 거쳐 안정화사업을 통해 지금은 매년 약 630만 명의 시민들이 즐겨찾는 서울의 중요 공원으로 역할을 하고 있다. ‘공원의 기억여행’은 난지도에 대한 명칭 유래부터 시민 생활상을 들을 수 있으며 매립지 이야기 그리고 월드컵공원을 맹꽁이 전기차로 직접 둘러볼 수 있다. 공원해설사가 동행하며 여행코스는 홍보관 관람(영상물 상영 포함) 그리고 하늘공원(또는 노을공원)을 둘러보게 되며 소요시간은 60~90분 정도이다.
기후변화 대응 환경교육 및 매립지의 공원화 등 재생공원에 관심 있는 학교 및 기관들이 참여할 수 있으며 월 8회 운영할 예정이다. 프로그램은 매주 화, 목요일 14:00부터 15:30분까지 운영되며 단체(30명 이내)로 서울시 공공서비스예약을 통해 선착순 예약할 수 있다.(1일 1팀)
이외에도 가족단위 ‘꾀꼬리 붕붕카 공원탐험대’도 매월 2회 토요일(10:00~11:30) 무료로 운영할 예정이다. 신청은 서울시 공공서비스예약을 통해 선착순 예약할 수 있다(1회 12명).
이용남 서부공원여가센터 소장은 과거 난지도 섬에서 환경생태공원으로 변화한 역사를 소개하는 공원의 기억여행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월드컵공원이 가진 생태적 가치를 확인하기를 바란다라고 전했다. 공원의 기억여행 및 꾀꼬리 붕붕카 공원탐험대 등 공원여행 프로그램 관련 궁금한 내용은 서부공원여가센터 공원여가과(02-300-5574 / 02-300-5530)으로 연락하면 된다.
<저작권자 ⓒ 이트레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서울시, 서부공원여가센타, 꽃섬, 난지도, 월드컵공원, 공원의기억여행 관련기사목록
- 서울관광재단, 방탄소년단 멤버 슈가, 단독 콘서트 연계 프로모션 진행
- 남산공원 야외식물원, 산책과 휴식을 곁들인 가벼운 숲캉스
- 서울시, 둘레길에 대한 어려움 낮추기 위해 숲길전문가와 걸어보는 ‘코스가이드’ 운영
- 별빛가득 야경 속 숨겨진 이야기 '한강야경투어'
- 서울시, 반포 한강공원 에서 2023 서울 자전거 축제 개최
- 서울중구, 한양도성 다산 성곽길 예술문화제 개최
- 서울시, 3년 만에 돌아온 남산골 태권도 상설공연
- 서울시, 4년만에 개최하는 한강 서래섬 유채꽃 축제
- 서울시, 난지한강공원 문화·힐링캠핑 프로그램 운영
- 서울시, 세빛섬 옥상 정원 조망명소·휴식공간으로 탈바꿈 하고 개방
- 서울 도심 속 한강달빛야시장 매주 일 반포한강공원서 개장
- 광화문광장 에서 즐기는 광화문 어린이 축제 봄빛소풍
- 서울시, 한강드론라이트쇼 개최
- 서울 최대 쇼핑관광축제, 2023 서울쇼핑페스타 개최
- 한양도성의 그림 같은 풍경 보면서 쉬어가는 한양도성유적전시관 안내센터 개관
- 서울관광재단, 맛집부터 문화공간까지 가득한 이태원 봄나들이 운영
- 서울시, “화려한 태권도 속으로” 태권도 공연으로 관광객 유치
- 남산골한옥마을, 2023 남산골 한옥콘서트 '고요(古謠)' 개최
- 서울식물원, 거인의 정원 개장
- 서울시, 서울페스타 2023 개최
- 서울숲공원, 월드컵공원 등 서울특별시 77개소 유아숲체험원 순차 개장
- 서울시 월드컵공원, 2023 소풍결혼식 신청 받는다
|
- 국내여행
- 충청북도, 6월 ‘여행가는 달’ 수(水) 많은 호수길 여행 9곳 추천
- 국내여행
- 문화체육관광부, 걸어서 대한민국 한바퀴 2023 걷기여행주간 운영
- 국내여행
- 익산시, 종교·역사·문화예술 따라 여산을 거닐다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