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곡, 대목장, 매사냥 유네스코 등재
한국은 총 11건의 인류무형유산 보유
이성훈 | 입력 : 2010/11/17 [08:38]
문화재청이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으로 등재 신청한 가곡, 대목장, 매사냥 등 3건이 2010년 11월 16일 케냐 나이로비에서 열린 제5차 무형유산정부간위원회에서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이로써 한국은 총 11건의 인류무형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가곡은 조선시대 꽃피었던 문화로 판소리, 민요, 잡가와 구분되는 정가(正歌)이며 성악곡이다. 시조의 시를 관현반주에 얹어 부르는 우리의 전통음악으로, 선조의 얼, 민족의 풍류와 시대의 인식을 엿볼 수 있다.
현대에 이르러 창자(唱子)와 청자(聽子)가 서로 즐길 수 있는 노래로 발전해 온 가곡의 사례는 여타의 예능분야에도 모범적 사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
대목장은 목수 중에서 궁궐이나 불전 또는 가옥을 짓는 건축과 관계된 일을 하는 장인으로, 오늘날의 건축가를 일컫는 전통적 명칭이라 할 수 있다. 대목장의 등재는 우리나라 최초의 기능 분야 등재라는 점에서도 그 의미가 있으며, 시대적 변화와 유행에 밀려 위기에 처한 대목장 기능과 대목장에 의해 만들어진 결과물에 대해 더 많은 관심과 흥미를 갖게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세계유산인 창덕궁이나 최근의 광화문과 숭례문 복원이 대목장의 지휘 하에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대목장의 등재가 더욱 뜻 깊다.
매사냥은 야생의 맹금류가 날짐승이나 길짐승을 사냥하는 습성을, 사람이 착안하여 맹금을 잡아 사냥에 이용하는 것으로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된 수렵술 가운데 하나이다. 특히 매사냥은 한국, 아랍에미리트, 벨기에, 프랑스, 몽골 등 11개국이 공동으로 등재한 유산으로, 국제적 협력이 돋보이는 사례로 평가받았다. 이전까지 문화적 전통을 공유하는 인접국 간의 공동등재는 몇 차례 있어왔지만, 매사냥과 같이 동서양의 여러 문화권을 아우르는 공동등재는 이번이 처음이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신규 등재된 유산이 보다 잘 보호되고 전승될 수 있도록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며, 우리 무형유산을 국내외에 홍보하고 세계화하는 데에도 최선을 다할 것이다.
<저작권자 ⓒ 이트레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잡동사니 관련기사목록
- 익산시 보석박물관, 보석문화상품 공모전 개최
- 부기 조형물 부산종합터미널에서 2030부산세계박람회 알린다
- KBS1 일요 시사·교양프로 '역사저널 그날' 진주시에서 촬영
- 청주시립도서관, 소장형 전자책·오디오북 확충
- 전라남도, 무안~울산 하늘길 다시 열린다
- 세종중앙공원 에서 인생정원을 만난다
- KBS 전국노래자랑, 남해유배문학관 광장에서 개최
- 고창군, 동호해수욕장 명품솔숲 관광객 맞이 환경정비
- 보성군, 6월 2일 BS삼총사 이모티콘 무료 배포 이벤트 진행
- 군산예술의전당, '뮤지컬 바람이 불어오는 곳' 故김광석 노래로 제작된 창작 뮤지컬 운영
- 전주시, 특성화도서관서 스마트폰 여행사진 촬영 프로그램 운영
- 군산예술의전당, 희극 클래식 발레 유니버설발레단의 '돈키호테' 공연
- 한성백제박물관, 올림픽공원 에서 사계콘서트 개최
- 함평군, 함평천지길 야간 경관조명 설치
- 익산시, 세계 문화 다~있는 ‘익산 글로벌문화관’ 프로그램 운영
- 분식회계 의혹 제기된 ‘대우산업개발’ 경찰 압수수색 들어가
- 남해관광문화재단, NFT 캐릭터 발행
- 대구시, 관광-항공 협력 대구공항 활성화 업무협약 체결
- 음식 다이어트 베스트 10
|
- 국내여행
- 댕댕이와 사람이 함께 행복한, 춘천 강아지숲
- 국내여행
- 해남에서 강화까지 국내 최장 거리, 1,800km 서해랑길 개통
- 국내여행
- 푸른 바다를 껴안은 후덕한 삼척 덕봉산해안생태탐방로
1/3
|